TRAINING
일을 잘하는 사람은, 사물을 구체적으로 볼 줄 알며, 집요하게 파고 들면서도 큰 그림을 놓치지 않습니다
STRAON이 생각하는 Training은?
알을 보고 알이라고 인지하고 표현하는 것이 평균적인 사람이라고 한다면,
인재는 알에서 새를 보고, 묘사함
- 정확성
- 타당성
- 구체성
타고나는 자질이 중요하지만, 훈련에 의해 개발할 수 있음
- 차별화 요소
- 근본적 역량
훈련 내용
- 박학, 심문, 신사, 명변, 독행의 단계別 훈련
- 제대로 듣기: 적극적 Listening
- 이해하기:
– 배경과 기타 필요지식 확보
– 다양한 Frame들의 이해 - 질문하기: 문제의 제대로 된 이해
- 생각하기: 논리적/창의적 사고
- 판단하기: 생각의 구조화 및 우선순위화
- 행동하기: 실행력 확보
- 사례 및 연습
- 1:1 Case Interview
- 신뢰를 주는 말하기와 글쓰기
- 원칙 세우기와 습관화 등

인재상: P=LSC2

- 가장 중요한 것은 호기심을 잃지 않으면서 긍정적 사고 방식을 가지는 것
- Sense of Humor와 여유는 인재가 겉으로 표출하는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
End at the beginning: 가설 기반의 사고로 전체적인 흐름을 최대한 조기에 도출한 후, 지속적으로 보완해 감
상대방의 생각에 항상 주의를 기울이며 잘 살피고, 그에 따라 대응함
무엇보다도, 스스로 생각하는 능력을 가진 ‘야생형 인재’가 필요함
강사 소개
- 강의
-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경영 동아리 특강
- 연세대 경영대학원 특강, 우송대 Sol Bridge 경영대학원 특강
- 삼성전자, 현대 자동차, LG전자, LG 인화원, SK Group, SK Telecom, CJ 인재개발원, 르노삼성 자동차, POSCO, IBM 등
- 취업 면접
- 현대 우주항공 인사과
- 컨설턴트 선발을 위해 500건 이상의 실제, 모의 Case 인터뷰 수행
문제의식
“모르겠는데요?”, “못하겠어요.”
갈수록 많이 듣게 되는 말들입니다. 청년들의 소위 스펙은 갈수록 상향되어 갑니다. 아예 중/고등학교 때부터 해외에서 공부하여 유창한 외국어를 구사하는 인재들도 많이 늘었습니다. 요새는 창조 경제라고 해서 자기가 창업을 해보고 이런 저런 경험을 쌓았다는 사람들도 부쩍 늘고 있습니다. 이력서만 놓고 보면 정말 누구를 뽑아야 될 지 모를 정도로 모두들 화려한 능력을 자랑합니다. 그러나 현실에서 듣게 되는 말들은 “모르겠는데요”와 “못하겠어요”입니다.
만들어진 능력
우리나라의 교육은 파탄 상태입니다. 붕괴되었습니다. 교육이란게 사회 환경과 경제, 문화 등 여러 부문과 복합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다 보니, 단순하게 설명되기는 어려운 문제지만, 최대한 단순화해서 결과만 놓고 보면 인재를 길러내는 데 실패하고 있습니다. 그것도 학생과 학부모들에게 엄청난 노력과 희생을 강요하면서도요.
‘교육 경쟁’에서 앞서기 위해 들여야 하는 노력은 모두 알다시피 엄청납니다. 그런데, 경쟁에 이겨서 명문대에 들어가긴 했는데 스스로는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항상 매우 구체적인 Frame이나 모방할 대상이 있어야만 무엇인가를 그나마 해 볼 수 있는 사람이 되어버렸다면 그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대입 제도가 복잡해 지면서, 그리고 그 전부터, 우리 교육은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하는 능력을 제거해 버립니다. 부모님이 정보를 수집하고, 방향을 제시하면 학생은 그 방향으로 가기만 하면 됩니다. 자기 생각이란 것이 개입할 여지가 거의 없습니다. 부모님은 화려한 스펙을 보며 보람을 느낄 지도 모르겠지만, 그렇게 만들어진 능력은 자기가 써먹을 수 없는 가짜 능력입니다. 깊이가 얕습니다.
거대한 위기
저희는 거의 20년의 세월에 걸쳐서 소위 SKY대와 해외 유학생들을 계속 뽑아서 쓰고, 일을 가르쳐 왔습니다. 점진적인 변화는 알아차리기 힘들지만, 20년 전과 지금을 비교해 보면 신입 직원들의 역량과 태도에 큰 변화가 있습니다. 야성이 감퇴하고 안전만을 추구합니다. 스스로 생각하는 능력이 가장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모른다, 못한다는 말을 하면서도 부끄러워 하지 않습니다. 자신감은 더욱 늘었습니다. 그런데 일하는 능력은 줄었습니다. 간단한 일조차도 자세하게 지시하지 않으면 제대로 하지 못합니다. 조금 싫은 소리를 하면 크게 감정을 상합니다. 그러니 발전도 더딥니다.
사업의 본질은 사람입니다. 우리나라가 식민지 시대와 전쟁을 거치면서도 오늘날 이 수준까지 발전할 수 있었던 근간은 인력의 우수성이었습니다. 교육의 전통이 있었고, 근면했습니다. 기술과 실적이 없었지만, 미국, 유럽 사람들이 세 달 걸릴 일을 우리는 한달 만에 해치우면서 차츰 차츰 역량을 쌓아올 수 있었습니다.
그러한 전통이 무너지고 있습니다. 대기업들의 실적은 아직 고공행진 이지만, 일본의 몰락과 중국 시장의 고공비행이라는 환경적 요인이 더욱 컸습니다. 새로운 에너지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새롭게 등장해서 성장한 대기업이 최근 10년 사이에 있었습니까? 사회는 경직되어 가고, 인재는 성장하지 못하고, 기업들은 인재에 목마르지만 그런 인재들을 찾기는 점점 더 어려워져 갑니다. 이것은 거대한 위기입니다.
왜 훈련인가?
교육에 대한 저희의 관심은 매우 실질적인 부분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실제 현장에서 저희는 인재의 부족과 전반적인 질의 하락을 누구보다도 심각하게 느껴 왔습니다. 그런 문제 의식과 문제를 타개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가 저희의 교육 Program입니다.
뇌과학적으로 가장 Ideal한 접근은 저희가 초등학교 1~3학년 정도의 가능성 있는 인재를 발굴해서 장기적으로 키우는 것입니다. 물론 현실성은 별로 없고, 실질적으로는 대학생 시기부터 저희가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 했습니다. 기본적인 재능과 성격, 태도를 갖춘 인재는 저희와의 만남으로, 빠른 시간 내에 재능을 발아할 수 있게 됩니다.
위기의 극복은 결국 왕도 없는 정공법입니다. 큰 흐름을 바꿀 수는 없지만,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으로 노력하자. 변화는 작은 것에서부터 시작 되는 것이니까요. 그게 저희의 교육입니다.
STRAON의 훈련 Program
- 생각과 태도에서 준비된 사람들을 위한 Program
- 기존 교육에 익숙해져서 생각과 태도를 바꿀 수 없는 사람에게는 적합하지 않음
- 기본적인 재능이 필요함 (IQ보다는 생각의 방식, 태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
- 독서의 중요성 인지 및 강조
- 1주일에 한 권씩 권장도서를 읽고 쪽글을 써야 함
- 독서는 스스로 생각하는 경험을 가지게 함으로써 강의의 보완 역할을 해줌
- 독서의 습관화 지향
- SKY를 특별히 선호하지 않음
- 지금의 교육체계에서 SKY는 큰 의미가 없다고 판단함
- 오히려 능력대비 너무 높은 자존감으로 인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다수임
- Case (경영 사례/Gestimation)의 강조 및 활용
- 제대로 된 Case Interview를 할 줄 아는 사람이 극소수라 그렇지, Case Interview를 보면 진실된 역량을 매우 높은 정확도로 판단할 수 있음
- 실제 상황에 놓인 것이 아니라면, 그나마 가장 효과적인 교육의 대안임
- 전략개발에 대한 수준 높은 경험과 방법론 제공
- 높은 곳에서 보면 낮은 곳이 더욱 잘 보임
- 전략 개발을 경험하면서 목표를 보다 확실히 볼 수 있고, 역량을 제대로 키워 갈 수 있음
생각의 힘

- 일반적으로 초중고 까지의 과정에서 배우는 사고가 논리 사고
- 대학 이후에서는 전공의 특성에 따라 변증법적 사고나 창조 사고의 훈련 가능
- 교육은 이러한 사고의 발전 과정에서 부수적: 오히려 선입관을 심어주어 창조적 사고를 방해할 가능성
아인슈타인: “내 연구를 방해한 유일한 훼방꾼은 내가 받은 교육이었다.”
임제 선사: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여라”
교육 프로그램: 기본 강의
Seminar Plan
주1회, 저녁7시부터
인원: Max 20명
Week 1
동기: 비전, 목표, 자아성찰
태도
생각의 힘
Week 2
생각의 기술
논리적 사고
상식, 센스, 창의력, 직관
Week 3
보고서 작성법
Grouping과 Summarization
Week 4
흐름과 내용 + 문체
전략의 이해
전략 Frame들 + 전략 개발 방법
Week 5
사업 구상
Financial Projection
정리
- 수강생은 수업 시간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자유롭게 질문하고 답변을 들을 수 있음
- 게시판, 이메일, 텔레그램, 뒷풀이 등
- 다음 내용들은 각 강의 중간에 녹여 넣어서 진행함
- Case Interview 방법론
- 실전 Case Interview
- 기업 현황: 주요 대기업, 외국계, 금융권, Venture, 공기업 등
- 업무 기능 및 프로세스 이해
- 진로 및 전망
교육 프로그램: 개별 강의
영어 인터뷰
영어로 일하기
Action Learning: Business Case
깨부수기 등
독서토론
Excel Modeling과 Financial Projection
생각의 힘: 논리력과 창의력
- 목표의 중요성
- Vision, Mission, 업의 본질, 사업 Domain
- 생각의 단계들
- 두뇌의 발전 단계 및 구조
- 형성.다차원.Frame.조화. 메타 사고
- 기본 논리들
- 배타성의 상호 보완성
- 전략적 직관과 창의력
- 실전 인터뷰 및 보고서 작성
경영 Frame과 방법론
- 경영 컨설팅의 역사와 의의, 종류, 기업들
- 민토 피라미드와 보고서
- 기업 구조와 기본 기능의 이해
- 진단 Frame 및 일반적인 이슈들
- 전략의 다양한 단계와 핵심
- 전략 수립 Framework
- 전체와 단계
- 다양한 경영 전략 Frame과 방법론들
- 실전 인터뷰 및 보고서 작성
보고서 작성법
- 보고서의 본질 및 보고서의 종류
- 보고서 작성의 기본 원칙
- 기업에서 글쓰기의 기본 원칙
- PowerPoint 기능 및 사용
- 이슈 및 가설 기반 Frame 구축
- Introduction과 SCQ
- 보고서의 핵심과 흐름의 구축
- 피라미드와 Delta
- Visualization
- The End at the Beginning
전략 개발
- 전략의 역사
- 전쟁과 전략
- 전략에 대한 다양한 시각들
- 전략의 유형
- Portfolio 전략
- 경쟁 전략
- 신사업 전략
- 일반 사업 전략
- 기술 전략
- 기능 전략
- 업의 본질과 창조적 파괴
교육에 참여했던 학생들의 사례
TRAINING
알을 보고 알이라고 인지하고 표현하는 것이 평균적인 사람이라고 한다면,
인재는 알에서 새를 보고, 묘사함
- 정확성
- 타당성
- 구체성
타고나는 자질이 중요하지만, 훈련에 의해 개발할 수 있음
- 차별화 요소
- 근본적 역량
훈련 내용
- 박학, 심문, 신사, 명변, 독행의 단계別 훈련
- 제대로 듣기: 적극적 Listening
- 이해하기:
– 배경과 기타 필요지식 확보
– 다양한 Frame들의 이해 - 질문하기: 문제의 제대로 된 이해
- 생각하기: 논리적/창의적 사고
- 판단하기: 생각의 구조화 및 우선순위화
- 행동하기: 실행력 확보
- 사례 및 연습
- 1:1 Case Interview
- 신뢰를 주는 말하기와 글쓰기
- 원칙 세우기와 습관화 등
- 가장 중요한 것은 호기심을 잃지 않으면서 긍정적 사고 방식을 가지는 것
- Sense of Humor와 여유는 인재가 겉으로 표출하는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
- End at the beginning: 가설 기반의 사고로 전체적인 흐름을 최대한 조기에 도출한 후, 지속적으로 보완해 감
- 상대방의 생각에 항상 주의를 기울이며 잘 살피고, 그에 따라 대응함
- 무엇보다도, 스스로 생각하는 능력을 가진 ‘야생형 인재’가 필요함
강사 소개
- 강의
-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경영 동아리 특강
- 연세대 경영대학원 특강, 우송대 Sol Bridge 경영대학원 특강
- 삼성전자, 현대 자동차, LG전자, LG 인화원, SK Group, SK Telecom, CJ 인재개발원, 르노삼성 자동차, POSCO, IBM 등
- 취업 면접
- 현대 우주항공 인사과
- 컨설턴트 선발을 위해 500건 이상의 실제, 모의 Case 인터뷰 수행
“모르겠는데요?”, “못하겠어요.”
갈수록 많이 듣게 되는 말들입니다. 청년들의 소위 스펙은 갈수록 상향되어 갑니다. 아예 중/고등학교 때부터 해외에서 공부하여 유창한 외국어를 구사하는 인재들도 많이 늘었습니다. 요새는 창조 경제라고 해서 자기가 창업을 해보고 이런 저런 경험을 쌓았다는 사람들도 부쩍 늘고 있습니다. 이력서만 놓고 보면 정말 누구를 뽑아야 될 지 모를 정도로 모두들 화려한 능력을 자랑합니다. 그러나 현실에서 듣게 되는 말들은 “모르겠는데요”와 “못하겠어요”입니다.
만들어진 능력
우리나라의 교육은 파탄 상태입니다. 붕괴되었습니다. 교육이란게 사회 환경과 경제, 문화 등 여러 부문과 복합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다 보니, 단순하게 설명되기는 어려운 문제지만, 최대한 단순화해서 결과만 놓고 보면 인재를 길러내는 데 실패하고 있습니다. 그것도 학생과 학부모들에게 엄청난 노력과 희생을 강요하면서도요.
‘교육 경쟁’에서 앞서기 위해 들여야 하는 노력은 모두 알다시피 엄청납니다. 그런데, 경쟁에 이겨서 명문대에 들어가긴 했는데 스스로는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항상 매우 구체적인 Frame이나 모방할 대상이 있어야만 무엇인가를 그나마 해 볼 수 있는 사람이 되어버렸다면 그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대입 제도가 복잡해 지면서, 그리고 그 전부터, 우리 교육은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하는 능력을 제거해 버립니다. 부모님이 정보를 수집하고, 방향을 제시하면 학생은 그 방향으로 가기만 하면 됩니다. 자기 생각이란 것이 개입할 여지가 거의 없습니다. 부모님은 화려한 스펙을 보며 보람을 느낄 지도 모르겠지만, 그렇게 만들어진 능력은 자기가 써먹을 수 없는 가짜 능력입니다. 깊이가 얕습니다.
거대한 위기
저희는 거의 20년의 세월에 걸쳐서 소위 SKY대와 해외 유학생들을 계속 뽑아서 쓰고, 일을 가르쳐 왔습니다. 점진적인 변화는 알아차리기 힘들지만, 20년 전과 지금을 비교해 보면 신입 직원들의 역량과 태도에 큰 변화가 있습니다. 야성이 감퇴하고 안전만을 추구합니다. 스스로 생각하는 능력이 가장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모른다, 못한다는 말을 하면서도 부끄러워 하지 않습니다. 자신감은 더욱 늘었습니다. 그런데 일하는 능력은 줄었습니다. 간단한 일조차도 자세하게 지시하지 않으면 제대로 하지 못합니다. 조금 싫은 소리를 하면 크게 감정을 상합니다. 그러니 발전도 더딥니다.
사업의 본질은 사람입니다. 우리나라가 식민지 시대와 전쟁을 거치면서도 오늘날 이 수준까지 발전할 수 있었던 근간은 인력의 우수성이었습니다. 교육의 전통이 있었고, 근면했습니다. 기술과 실적이 없었지만, 미국, 유럽 사람들이 세 달 걸릴 일을 우리는 한달 만에 해치우면서 차츰 차츰 역량을 쌓아올 수 있었습니다.
그러한 전통이 무너지고 있습니다. 대기업들의 실적은 아직 고공행진 이지만, 일본의 몰락과 중국 시장의 고공비행이라는 환경적 요인이 더욱 컸습니다. 새로운 에너지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새롭게 등장해서 성장한 대기업이 최근 10년 사이에 있었습니까? 사회는 경직되어 가고, 인재는 성장하지 못하고, 기업들은 인재에 목마르지만 그런 인재들을 찾기는 점점 더 어려워져 갑니다. 이것은 거대한 위기입니다.
왜 훈련인가?
교육에 대한 저희의 관심은 매우 실질적인 부분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실제 현장에서 저희는 인재의 부족과 전반적인 질의 하락을 누구보다도 심각하게 느껴 왔습니다. 그런 문제 의식과 문제를 타개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가 저희의 교육 Program입니다.
뇌과학적으로 가장 Ideal한 접근은 저희가 초등학교 1~3학년 정도의 가능성 있는 인재를 발굴해서 장기적으로 키우는 것입니다. 물론 현실성은 별로 없고, 실질적으로는 대학생 시기부터 저희가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 했습니다. 기본적인 재능과 성격, 태도를 갖춘 인재는 저희와의 만남으로, 빠른 시간 내에 재능을 발아할 수 있게 됩니다.
위기의 극복은 결국 왕도 없는 정공법입니다. 큰 흐름을 바꿀 수는 없지만,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으로 노력하자. 변화는 작은 것에서부터 시작 되는 것이니까요. 그게 저희의 교육입니다.
STRAON의 훈련 Program
- 생각과 태도에서 준비된 사람들을 위한 Program
- 기존 교육에 익숙해져서 생각과 태도를 바꿀 수 없는 사람에게는 적합하지 않음
- 기본적인 재능이 필요함 (IQ보다는 생각의 방식, 태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
- 독서의 중요성 인지 및 강조
- 1주일에 한 권씩 권장도서를 읽고 쪽글을 써야 함
- 독서는 스스로 생각하는 경험을 가지게 함으로써 강의의 보완 역할을 해줌
- 독서의 습관화 지향
- SKY를 특별히 선호하지 않음
- 지금의 교육체계에서 SKY는 큰 의미가 없다고 판단함
- 오히려 능력대비 너무 높은 자존감으로 인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다수임
- SKY 이외 대학 출신을 대상으로 하여 성과를 내고자 함
- Case (경영 사례/Gestimation)의 강조 및 활용
- 제대로 된 Case Interview를 할 줄 아는 사람이 극소수라 그렇지, Case Interview를 보면 진실된 역량을 매우 높은 정확도로 판단할 수 있음
- 실제 상황에 놓인 것이 아니라면, 그나마 가장 효과적인 교육의 대안임
- 전략개발에 대한 수준 높은 경험과 방법론 제공
- 높은 곳에서 보면 낮은 곳이 더욱 잘 보임
- 전략 개발을 경험하면서 목표를 보다 확실히 볼 수 있고, 역량을 제대로 키워 갈 수 있음
- 일반적으로 초중고 까지의 과정에서 배우는 사고가 논리 사고
- 대학 이후에서는 전공의 특성에 따라 변증법적 사고나 창조 사고의 훈련 가능
- 교육은 이러한 사고의 발전 과정에서 부수적: 오히려 선입관을 심어주어 창조적 사고를 방해할 가능성 제대로 된 교육의 중요성, 개개인의 성격과 태도의 중요성으로 연계
아인슈타인: “내 연구를 방해한 유일한 훼방꾼은 내가 받은 교육이었다.”
임제 선사: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여라”
- 1회 3시간 +
- 주 1회, 저녁 7시~
- 인원: Max 20명
WEEK 1
- Introduction
- 동기 점검: Vision, 목표, 자아 성찰
- 태도
- 생각의 힘
WEEK 2
- 생각의 기술
- 논리적 사고
- 상식, 센스, 창의력, 직관
WEEK 3
- 보고서 작성법
- Grouping과 Summarization
WEEK 4
- 흐름과 내용 + 문체
- 전략의 이해
- 전략 Frame들 + 전략 개발 방법
WEEK 5
- 사업 구상
- Financial Projection
- 정리
- 수강생은 수업 시간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자유롭게 질문하고 답변을 들을 수 있음
- 게시판, 이메일, 텔레그램, 뒷풀이 등
- 다음 내용들은 각 강의 중간에 녹여 넣어서 진행함
- Case Interview 방법론
- 실전 Case Interview
- 기업 현황: 주요 대기업, 외국계, 금융권, Venture, 공기업 등
- 업무 기능 및 프로세스 이해
- 진로 및 전망
생각의 힘: 논리력과 창의력
- 목표의 중요성
- Vision, Mission, 업의 본질, 사업 Domain
- 생각의 단계들
- 두뇌의 발전 단계 및 구조
- 형성.다차원.Frame.조화. 메타 사고
- 기본 논리들
- 배타성의 상호 보완성
- 전략적 직관과 창의력
- 실전 인터뷰 및 보고서 작성
경영 Frame과 방법론
- 경영 컨설팅의 역사와 의의, 종류, 기업들
- 민토 피라미드와 보고서
- 기업 구조와 기본 기능의 이해
- 진단 Frame 및 일반적인 이슈들
- 전략의 다양한 단계와 핵심
- 전략 수립 Framework
- 전체와 단계
- 다양한 경영 전략 Frame과 방법론들
- 실전 인터뷰 및 보고서 작성
보고서 작성법
- 보고서의 본질 및 보고서의 종류
- 보고서 작성의 기본 원칙
- 기업에서 글쓰기의 기본 원칙
- PowerPoint 기능 및 사용
- 이슈 및 가설 기반 Frame 구축
- Introduction과 SCQ
- 보고서의 핵심과 흐름의 구축
- 피라미드와 Delta
- Visualization
- The End at the Beginning
전략 개발
- 전략의 역사
- 전쟁과 전략
- 전략에 대한 다양한 시각들
- 전략의 유형
- Portfolio 전략
- 경쟁 전략
- 신사업 전략
- 일반 사업 전략
- 기술 전략
- 기능 전략
- 업의 본질과 창조적 파괴
영어 인터뷰
영어로 일하기
Action Learning: Business Case 깨부수기 등
독서토론
Excel Modeling과 Financial Projection
김 OO
- 고려대학교
- YTN 취업
윤 OO
- 서울대학교
- Bain & Company 취업
김 OO
- 연세대학교
- SK Telecom 취업
배 OO
- 서강대학교
- 한국 IBM 취업
김 OO
- 연세대학교
- 두산그룹 Tri-C 취업
배 OO
- 서강대학교
- 한국 IBM 취업
허 OO
- 연세대학교
- LG 전자 취업
김 OO
- 서울대학교
- University of Chicago 경제학 박사 과정 진학
문 OO
- 서울대학교
- Morgan Stanley, HK 취업
이 OO
- 연세대학교
- GE Capital 취업
장 OO
- 서울대학교
- McKinsey & Company 취업
신 OO
- 서울대학교
- A.T. Kearney 취업
박 OO
- 연세대학교
- A.T. Kearney 취업
박 OO
- 이화여자대학교
- CJ그룹 취업
신 OO
- 연세대학교
- 삼성증권 취업
장 OO
- 서울대학교
- BCG 취업